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는 구현한 인터페이스의 모든 메소드를 오버라이드 해야한다.
그런데
오버라이드 해야할 메소드가 너무 많고 그 많은 메소드를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경우 쓸대없이 코드가 길어진다.
이때 어댑터라는 개념을 이용한다.
방법.
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 메소드를 모두 오버라이드 시킨다.
그 클래스를 abstract 하여 추상클래스로 만들고
추상클래스를 상속받아서 사용하면 필요한 메소드만 오버라이드 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.
이때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추상클래스로 만들어 놓은 클래스를 어댑터라고 한다.
자바가 만들어 놓은 어댑터 중 하나가 WindowAdapter 추상클래스이다.
이 추상클래스는 WindowListen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이다.
WindowAdapter 추상클래스를 상속받아서 원하는 메소드만 오버라이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
'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쓰레드로 만든 시계 (0) | 2014.02.24 |
---|---|
내부클래스 (0) | 2014.02.21 |
클래스의 포함 관계 예제 (클래스를 필드멤버 처럼 사용) (0) | 2014.02.19 |
Singleton 이해하는 예제 (0) | 2014.02.19 |
업캐스팅 / 다운캐스팅 - 참조변수의 형변환 instanceof (0) | 2014.01.19 |